코딩테스트(연습)

[프로그래머스 2단계) (JS) 다음 큰 숫자

Hyunsangs 2024. 8. 26. 14:00

문제 설명

자연수 n이 주어졌을 때, n의 다음 큰 숫자는 다음과 같이 정의 합니다.

  • 조건 1. n의 다음 큰 숫자는 n보다 큰 자연수 입니다.
  • 조건 2. n의 다음 큰 숫자와 n은 2진수로 변환했을 때 1의 갯수가 같습니다.
  • 조건 3. n의 다음 큰 숫자는 조건 1, 2를 만족하는 수 중 가장 작은 수 입니다.

예를 들어서 78(1001110)의 다음 큰 숫자는 83(1010011)입니다.

자연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n의 다음 큰 숫자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
제한 사항

  • n은 1,000,000 이하의 자연수 입니다.

입출력 예

n result

78 83
15 23

입출력 예 설명

입출력 예#1

문제 예시와 같습니다.

입출력 예#2

15(1111)의 다음 큰 숫자는 23(10111)입니다.


나의 코드

function solution(n) {
    const nLength = n.toString(2).split('').filter(e => e === '1').length;
    
    let answer = n
    while (true) {
        answer++
        let answerOneAmount = answer.toString(2).split('').filter(e => e === '1').length;
        
        if(  nLength === answerOneAmount) {
            return answer
        } 
    }
    
}

코드 해석

일단 조건1 에 의해 n보다 무조건 큰 자연수이여야 하고, 큰 숫자와 n이 둘다 2진수로 변환 했을 때 1의 갯수가 같다는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

n 숫자에 대하여 이진수로 변환 후 filter 함수를 통해 1만 걸러낸다음 length로 1의 개수를 저장해둔다. 그리고 while (true) 문에서 answer 숫자를 1씩 증가하며 그 숫자도 이진수로 변환후 1의 개수가 같은지 확인한 다음 같으면 answer 값을 출력하고 아니라면 다시 반복하여 answer값을 올리는 방식이다.

다른 사람 코드

function solution(n,a=n+1) {
    return n.toString(2).match(/1/g).length == a.toString(2).match(/1/g).length ? a : solution(n,a+1);
}

재귀 함수와 삼항 연산자, match 함수를 이용하여 한줄 코드로 작성해 놓으셨다….

match함수로 정규화식을 이용하여 n의 1의 개수 a = n+1 매개변수로 받아서 그 숫자도 1의개수를 비교한 다음 같으면 a를 반환하고 아니라면 재귀함수로 다시 solution 함수를 돌리는 방식이다.

match 함수를 떠올리지 못했는데,, 잘 사용해 봐야겠다.

오늘의 한마디

한줄코드로 작성 끝낸거 보면 진짜 나는 뭐했나,,, 생각이 든다..